728x90

파밭은 아니고...캣닢 싹

 

 

파밭가에서

 

 

김수영   

 

 

 

 

 

 삶은 계란의 껍질이 

 벗겨지듯

 묵은 사랑이

 벗겨질 때

 붉은 파밭의 푸른 새싹을 보아라

 얻는다는 것은 곧 잃는 것이다

 

 

 먼지 앉은 석경 너머로

 너의 그림자가

 움직이듯

 묵은 사랑이

 움직일 때

 붉은 파밭의 푸른 새싹을 보아라

 얻는다는 것은 곧 잃는 것이다

 

 

 새벽에 준 조로의 물이

 대낮이 지나도록 마르지 않고

 젖어 있듯이

 묵은 사람이 뉘우치는 마음 한복판에

 젖어 있을 때

 붉은 파밭의 푸른 새싹을 보아라

 얻는다는 것은 곧 잃는 것이다

 

 

 

 

 

 * 주제 : 묵은 사랑에서 벗어나 새로운 사랑을 추구하려는 의지

 

 * 동일한 문장 구조 반복

    붉은 파밭의 푸른 새싹을 보아라

    얻는다는 것은 곧 잃는 것이다

 

 * 역설 : 얻는 다는 것은 곧 잃는 것이다

             (묵은 것을 버려야 새로 얻을 수 있다)

 

  * 대조

1연 삶은 계란 껍질, 묵은 사랑 (벗겨짐) 푸른 새싹
2연 너의 그림자, 묵은 사랑 (움직임)
3연 조로의 물, 묵은 사랑 (젖어 있음)

 

 

* 너의 그림자가 움직이듯 묵은 사랑이 움직일 때

  :  희미하고 실체가 없는(그림자) 묵은 사랑의 대한 기억이 떠오를 때

 

 * 새벽에 준 조로의 물이 대낮이 지나도록 마르지 않고 젖어 있듯이

  :  묵은 사랑의 낡은 가치관이 사라지지 않음

 

* 묵은 사랑이 뉘우치는 마음의 한복판에 젖어 있을 때

  : 낡은 가치관을 떨쳐 내려는 것을 후회 할 때 (미련을 버리지 못할 때)

 

 

 

* 화자는 붉은 파밭에서 돋아나는 푸른 새싹을 보며 묵은 것에 대한

   미련을 버려야 새롭게 변화 할 수 있다는 깨달음을 얻고 있다.

 

* 이를 통해 작가는 부조리한 사회 현실에서 꿈꿨던 

   새로운 세상에 열망을 드러내고 있다.

 

 

'하루 시한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쉽게 씌어진 시 (윤동주)  (1) 2022.09.14
흥부 부부상 (박재삼)  (0) 2022.09.13
수정가 (박재삼)  (2) 2022.09.13
북어 (최승호)  (0) 2022.09.12
아마존 수족관 (최승호)  (0) 2022.09.11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