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노신
김광균
시를 믿고 어떻게 살아가나
서른 먹은 사내가 하나 잠을 못 잔다.
먼ㅡ기적 소리 처마를 스쳐가고
잠들은 아내과 어린 것의 베갯맡에
밤눈이 내려 쌓이나 보다.
무수한 손에 뺨을 얻어맞으며
항시 곤두박질해 온 생활의 노래
지나는 돌팔매에도 이제는 피곤하다.
먹고 산다는 것
너는 언제까지 나를 쫓아오느냐.
등불을 켜고 일어나 앉는다.
담배를 피워 문다.
쓸쓸한 것이 오장을 씻어 내린다.
노신이여
이런 밤이면 그대가 생각난다.
온ㅡ세계가 눈물에 젖어 있는 밤
상해 호마로 어느 뒷골목에서
쓸쓸히 앉아 지키던 등불
등불이 나에게 속삭거린다.
여기 하나의 상심한 사람이 있다.
여기 하나의 굳세게 살아온 인생이 있다.
* 주제 : 가난 때문에 겪는 현실적 어려움과 그 극복의지
* 노신 : 중국 근현대 문학가(1881~1936)
고단한 삶을 사는 시적화자에게 의지를 북돋아 주는 존재
* 등불 : 화자에게 현실극복 의지와 용기를 주는 대상
* 서른 먹은 사내 : 화자 자신을 3인칭으로 표현
* 어려운 현실 표현 : ~ 뺨을 얻어 맞으며
항시 곤두박질 해온 ~
지나는 돌팔매 등
'하루 시한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완화삼-목월(木月)에게 (조지훈) (1) | 2022.09.28 |
---|---|
시 (박목월) (1) | 2022.09.26 |
안개의 나라 (김광규) (0) | 2022.09.26 |
다리저는 사람 (김기택) (1) | 2022.09.25 |
풀벌레들의 작은 귀를 생각함 (김기택) (0) | 2022.09.25 |